1차 모바일 혁명이라고 명명된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은 2009년 아이폰 출시 이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크게 성장해 왔으며 이제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현시점에서 향후 스마트폰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차세대 모바일 제품은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를 꼽을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신체나 의복에 착용할 수 있도록 작고 가볍게 개발된 차세대 PC이다.
웨어러블기기의 장점은 주변 환경에 대한 상세정보나 개인의 신체 변화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의료기술의 발달과 함께 개인의 질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이와 함께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체의 신호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센서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건강 진단과 건강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미지 출처 : 엘지 디스플레이
헬스케어 분야에 사용되는 웨어러블 센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요구된다.
첫째로, 신체에 직접 접촉되어 신호를 감지하기 때문에 인체 친화적인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피부와의 접착성이 좋아야 한다. 또한, 인체에서 발생하는 움직임 등의 변형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둘째로, 인체에서 발생하는 맥박, 심박, 혈과 팽창 및 수축, 체온 변화 등의 매우 미약한 신호를 신뢰도 높게 감지할 수 있도록 높은 민감도를 가져야한다.
마지막으로 대량생산을 통한 저가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어야 하고, 제작과정이 복잡하지 않아야한다.
상기 조건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는 나노물질 예컨대, 나노입자, 나오와이어, 나노튜브 등 나노소재 기반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나노입자는 기판 표면 구조와 형태, 성질에 여향을 받지 않으므로 웨어러블 센서에 사용하기 적합한 인체 친화적 고분자 유연 기관 위에 소자 제작이 가능하다.
이미지 출저 : NAT NANOTECHNOL, 12, 839-840 (2017)
또한, 나노입자는 상온.상압 하에서 이우어지는 용액 공정을 사용하여 합성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간단한 공정을 통해 나노입자의 크기, 리간드 종류 등의 특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물성 확보가 용이하다.
출처 : KRX 정보데이터 출처 등록일자 : 2021.01.28 출처 작성기관 : (주)NICE디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