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X

삼아알미늄, 기관·외국인 동반 매수세 강세...장세적 시사점은?

by 플루토스 2023. 10. 13.
반응형

2023년 10월 12일 기준 삼아알미늄의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분석한 결과,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은 2023년 10월 12일 하루에만 25,506주를 순매수했으며, 외국인은 40,411주를 순매수했다. 이는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삼아알미늄의 주가는 단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개인의 매도세도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우려 등 대외 요인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요인들이 악화될 경우, 삼아알미늄의 주가 상승세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

구체적인 투자 전략으로는, 단기적으로는 상승 추세를 따라 매수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대외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적절한 매도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관 매수세, 실적 개선 전망·글로벌 알루미늄 수요 증가 전망·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 강화 등 이유로 분석

기관의 매수세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실적 개선 전망: 삼아알미늄은 2023년 2분기 실적에서 매출액 5,424억원, 영업이익 1,22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4%, 107.4% 증가했다. 이는 전기 대비로도 매출액은 6.8%, 영업이익은 20.9% 증가한 수치다. 삼아알미늄은 2023년 연간 실적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 글로벌 알루미늄 수요 증가 전망: 글로벌 알루미늄 수요는 전기차, 풍력발전 등 친환경 산업의 확대와 인프라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2023년에도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삼아알미늄은 글로벌 알루미늄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 강화: 환율 상승으로 삼아알미늄의 수출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삼아알미늄의 수출 비중은 약 90%에 달하며,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

외국인 매수세, 실적 개선 전망·글로벌 알루미늄 수요 증가 전망·국내 증시의 상대적 저평가 등 이유로 분석

외국인의 매수세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실적 개선 전망: 외국인은 삼아알미늄의 실적 개선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 글로벌 알루미늄 수요 증가 전망: 외국인은 글로벌 알루미늄 수요 증가 전망에 주목하고 있다.
  • 국내 증시의 상대적 저평가: 외국인은 국내 증시의 상대적 저평가를 이유로 삼아알미늄에 대한 매수세를 확대하고 있다.

개인 매도세, 차익 실현·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국내 증시의 변동성 확대 등 이유로 분석

개인의 매도세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차익 실현: 삼아알미늄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개인의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고 있다.
  •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되면서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 국내 증시의 변동성 확대: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개인의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삼아알미늄 차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