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방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기술집약적 나노센서 산업
이미지 출처: TDB, NICE디앤비 재가공 센서산업의 밸류체인은 센서 제조를 위한 소재산업, 소재를 이용하여 고유 기능이 구현된 센서, 여러 개 센서를 사용하여 조합한 모듈 및 센서 시스템형 사업으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1단계 처리되지 않은 나노 스케일 구조인 나노소재(nanomaterials) 제공 단계, 2단계 나노스케일 특징을 가지는 중간제품인 나노센서를 생하는 생산자, 3단계 여러 회로들과 함께 조립공정을 거쳐 센서 모듈, 센서 시스템을 생산하는 1차 사용자 그리고 자동차, 로봇 또는 헬스케어 등의 서비스 분야에 작용하는 2차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센서산업을 중심으로 후방산업은 실리콘, 세라믹, 금속(구리, 은, 백금 등), 나노물질 등 소재의 제조업체 및 장비업체들이 있으며, 전방산업은..
2022. 4. 27.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끄는 나노센서의 스마트화
이미지 출처 : ( 좌 ) “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개요 ” 김정래 , ( 우 ) “ 당신의 당뇨 , 렌즈가 안다 ” 조선일보 , 신동흔 기존 센서에 나노기술 및 미세 전자 기계시스템(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me) / 나노전자 기계시스템(NEMS, Nano Electro-Mechanical Systme)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된 스마트 센서는 단순 센싱(sensing) 기능을 넘어 통신, 데이터 처리 및 인공지능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스마트 홈 시스템, 원격진료 시스템, 대규모 환경 시스템 IoT 등의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특히 나노기술을 접목시킨 바이오센서의 스마트화 및 소형화는 헬스 의료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혈당, 임신 호르몬, ..
2022. 4. 27.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 소자 기술
4차 산업혁명의 도입과 함께 센서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센서는 계측기기, 자동차, 모바일기기, 가전기기, 의료기기, 국가.보안기기, 환경기기, 산업기기 등 다양한 분야의 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다. 산업 변화 추세에 따라 센서는 소형화, 복잡화, 지능화, 다양화를 추구한다. 출처 : KRX 정보데이터 출처 등록일자 : 2021.01.28 출처 작성기관 : (주)NICE디앤비
2022. 4. 25.
고부가가치 산업의 핵심 기술 나노센서
나노기술의 발달이 센서의 고성능, 경량화, 가격 저렴화를 가져오면서, 나노센서는 스마트기기, 웨어러블기기, 의료기기, 환경감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핵심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타 산업분야의 신속한 적용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국가적 R&D 지원 및 나노, 소재 신기술 개발사업 등을 통한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까지 나노센서를 적용하여 제품화 단계까지 이른 산업분야는 제한적이지만, 앞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기대된다. 특히 헬스케어 분야에서 나노 바이오센서 적용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환경 분야에서도 대기, 수질 등 측정을 위한 나노 화학센서, 가스센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KRX 정보데이터 출처 등록일자 : 2021.01...
2022.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