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9

웨어러블 스트레인 센서 스트레인 센서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변형을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개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맥박, 심장 박동 등 미세한 인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로봇 공학, 바이오 공학 등에 응용될 수 있는 고감도의 스트레인 센서 개발이 필요하다. 나노입자는 그 물성을 표면 리간드 종류, 리간드 치환 과정 중 사용되는 리간드 용매, 나오닙자층 세척을 위해 사용하는 세척 용매에 따라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나노입자를 섞어 사용할 경우 완전히 새로운 특성을 얻어낼 수도 있다. 일 예로, 나노입자 자체의 물성을 조절하여 투명한 반도체성, ITO 및 부동체성 ZnO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둘을 섞어 투명 초감도 스트레인 센서를 제작하였으며, 이와 같은 기술은 초.. 2022. 4. 29.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분야에서 중요해지고 있는 웨어러블 나노센서 1차 모바일 혁명이라고 명명된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은 2009년 아이폰 출시 이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크게 성장해 왔으며 이제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현시점에서 향후 스마트폰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차세대 모바일 제품은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를 꼽을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신체나 의복에 착용할 수 있도록 작고 가볍게 개발된 차세대 PC이다. 웨어러블기기의 장점은 주변 환경에 대한 상세정보나 개인의 신체 변화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의료기술의 발달과 함께 개인의 질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이와 함께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체의 신호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센서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건강.. 2022. 4. 29.
센서 소형화 : 나노전자기계시스템 이미지 출처: “MEMS 개요” 네이버 블로그(2019), NICE디앤비 재가공 나노전자기계시스템(Nano Electro - Mechanical system, 이하 NEMS)는 나노단위의 초소형 3차원 구조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현 기술이다. SPM (Scanning Probe Microscope), AFM(Atomic Force Microscope)과 같은 최신 현미경 기술을 이용하여 원자, 분자 레벨의 극미세구조를 형성하고, 미세가공기술과 조합하여 전자, 기계, 빛 재료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시킨 입체적 미세구조나 회로, 센서, 엑츄에이터를 실리콘 기판 위에 집적하여 시스템을 설계한다. NEMS는 센서뿐만 아니라 엑츄에이터에 사용이 가능하며, 나노기술을 통해 구성된 나노센서 및 나노엑츄에이터.. 2022. 4. 29.
나노소재 : 나노입자, 나노선 및 나노튜브 나노센서는 기존센서에 나노물질을 첨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성능을 부여한 것으로, 우선 나노센서의 핵심이 되는 나노소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미지 출처: (좌) 삼성전자 (중) “원자 세계에서 온 나노선은 어떻게 자라나” 사이언스온 (우) “반도체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정제방법 개선하는 기술 개발” 퓨처타임즈, 최용환, NICE디앤비 재가공 나노입자는 수백 또는 수천개의 원자들이 뭉친 덩어리로 크기는 대략 수 나노미터 정도이다. 금속 나노입자의 경우 가시광선/자외선 영역의 빛을 쪼였을 때 강한 흡수가 일어나면서 금속 나노입자 주위의 전도대 전자(conduction electron)들이 공진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국소표면플라즈몬공명(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 2022. 4. 28.
나노센서의 핵심 기술 : 나노소재 및 MEMS 나노센서의 핵심 기술은 나노소재 및 NEMS 기술이다. 공정 신뢰도를 높이고 나노소재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다양한 산업 분야 개척을 위한 나노센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출처 : KRX 정보데이터 출처 등록일자 : 2021.01.28 출처 작성기관 : (주)NICE디앤비 2022. 4. 28.
전·후방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기술집약적 나노센서 산업 이미지 출처: TDB, NICE디앤비 재가공 센서산업의 밸류체인은 센서 제조를 위한 소재산업, 소재를 이용하여 고유 기능이 구현된 센서, 여러 개 센서를 사용하여 조합한 모듈 및 센서 시스템형 사업으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1단계 처리되지 않은 나노 스케일 구조인 나노소재(nanomaterials) 제공 단계, 2단계 나노스케일 특징을 가지는 중간제품인 나노센서를 생하는 생산자, 3단계 여러 회로들과 함께 조립공정을 거쳐 센서 모듈, 센서 시스템을 생산하는 1차 사용자 그리고 자동차, 로봇 또는 헬스케어 등의 서비스 분야에 작용하는 2차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센서산업을 중심으로 후방산업은 실리콘, 세라믹, 금속(구리, 은, 백금 등), 나노물질 등 소재의 제조업체 및 장비업체들이 있으며, 전방산업은.. 2022. 4. 27.
반응형